법원 경매차 과연 싸고 좋을까? 경매방식 및 중고차 허위매물, 주의사항.
일전 포스팅에서 자동차 경매와 공매의 차이점과 공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오늘은 이어서 법원 경매차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원 경매를 통해 좋은 차를 시세에 비해 싸게 구할 수 있다는 얘기도 있고, 허위매물, 미끼매물에 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한 수많은 업체들이 법원 경매차란 이름으로 영업을 하고 있어, 업체를 고르기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법원 경매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알면,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잡설이 길었네요.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히는 바입니다.
자동차 법원 경매, 법원 경매차.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법원 경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보겠습니다.
이 부분은 굳이 안 읽으셔도 대세에 큰 지장은 없으므로, 바쁘신 분은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
재산에 대해 경매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현금화해 받아내기 위해서입니다.
간단하게 말해 돈을 빌렸는데, 갚을 돈이 없으면, 법원에서 채무자의 재산을 경매를 통해 현금화한 뒤, 갚아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임의경매, 강제경매, 형식적경매 등이 있는데,
- 임의경매 : 민사집행법 264~275조에 의거, 담보권을 실행하기 위한 경매
- 강제경매 : 민사집행법 80~162조 채권자의 채권을 실행하기 위한 경매
- 형식적경매 : 민사집행법275조, 기타 법률에 의거, 임의경매 및 강제경매가 아닌 경매, 유치권 실행을 위한 경매, 자조매각, 단주경매, 타인의 권리를 상실시키는 경매, 청산을 위한 경매, 공유물 분할을 위한 경매 등
법원 경매차량.

차량의 경매는 법원 경매차와 사설 경매차량으로 나뉩니다.(한국자동차경매장, 서울자동차경매장, 현대 기아차 경매장)
경매란 시스템 자체가 동산(자동차)을 빨리 처분하여 현금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므로 일반적으로 시세보다 20~30% 낮은 가격에서 시작을 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유찰(낙찰자 없음)을 하게 되면, 가격은 계속 내려가게 되므로, 싼 가격에 좋은 차량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일전 포스팅에서 잠시 언급했지만, 현재까지 일반인이 직접 자동차 경매에 참가해서 차량을 낙찰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럼 법원 경매차라고 홍보하는 많은 사이트들은 어떤 곳일까요?
이 부분에 대해 들어가기에 앞서 법원 경매를 하는 업체들의 수익 구조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법원 경매차 업체들의 수익구조.

법원 경매나 일반 경매에 나오는 차량들은 간혹 관리가 잘 된 경우도 있지만, 오랫동안 방치되거나 비용상의 이유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돈이 없어서 경매에 넘어가는 상황인데, 차량의 수리나 정비가 잘 이루어졌다면 그것 또한 이상한 일이겠죠.
업체에서 경매를 통해 낙찰을 받게 되면, 이 차량을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서 상품화의 과정을 거칩니다.(수리, 부분도색, 광택, 실내 청소 등등)
또한, 차량이 바로 판매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보관비용, 관리비용, 판매 불가시의 위험비용, 인건비, 사무실 운영비, 각종 보험료, 기타 잡비 등등에 업체 마진까지 붙여 판매가격이 정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비용들을 감안하면, 경매를 통해 차량을 정말 저렴한 가격에 사오지 않는 이상 손해를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
중고 자동차를 사거나 팔아본 적이 있으신 분은 아시겠지만, 판매할 때와 구매할 때의 가격이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느끼셨을 겁니다.
내 차와 동일한 차종, 비슷한 스펙과 상태의 차량인데 중고차 매물로 올라와 있는 녀석과 내 애마를 팔려고 할 때의 가격 차이가 심각하게 나는 것이죠.
그래서 직거래를 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완전히 믿을 수는 없죠.
암튼 얘기가 잠시 샜는데, 중고차 업체가 자선사업가가 아닌 이상 위의 수익 구조를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법원 경매차 구매방법.

이제서야 본론으로 들어가 그럼 어떻게 해야 일반인이 법원 경매차를 구매할 수 있을까요?
업체에서 낙찰받고 상품화한 경매차 구매
말 그대로 위의 수익구조에 따라 업체에서 경매에 참여해 낙찰 받은 후, 상품화한 차량을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경매가 이루어진 시점, 상품화 비용, 낙찰가 등에 따라 가격은 상당히 유동적이며, 운이 좋으면 싸게 살 수도 있고, 오히려 비쌀 수도 있습니다.(써 놓고 보니 당연한 얘기네요.)
보통 법원 경매차량이라고 불리는 녀석들이 이 녀석들입니다.
“이 차량 100만원에 낙찰받은 녀석인데, 왜 200만원에 팔아? 사기꾼이야? “
물론 개중에는 사기꾼, 양아치도 있겠지만, 위의 수익구조를 무시하면 이런 얘기가 나오게 되는 것이죠.
경매대행
두번째 방법은 바로 경매대행인데요.
일부 업체에서는 고객이 법원 경매로 나온 물건의 구매를 원할 시 경매를 대행해 주고, 일정 수수료를 받습니다.
법원 경매의 경우 주기적으로 경매 공지를 하므로, 이를 확인한 후, 참가 자격인 있는 업체에 대행을 맡기는 방식이죠.
실구매자 입장에서는 경매 차량을 비교적 낮은 가격에 구매하여 원하는 만큼 수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업체 입장에서도 수수료를 받으니, 인건비 정도는 빠지는 어찌보면 서로 윈윈인 방식이지만, 배보다 배꼽(수수료)가 더 커질 수도 있고, 대행해주는 딜러가 차량 상태를 확인해 주기도 하지만, 경매 특성상 차량상태점검부를 통한 확인과 내관, 외관에 대한 육안 확인이 전부이므로(대부분 시운전 불가)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법원에 눈탱이를 맞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죠.
허위 매물.
이건 중고차 관련 포스팅을 할 때마다 드리는 말씀인데, 실매물 확인은 필수입니다.
법원 경매차를 취급하는 사이트는 다른 곳에 비해 덜하기는 하지만, 완전히 없다고는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중고차 딜러분들께서는 고객과의 신뢰를 위해 좋은 차량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고자 노력하지만, 일부 몰지각한 업자들이 허위매물, 미끼매물 등을 통해 고객을 방문하게 한 후, 다른 매물로 유도하는 짓거리들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들 때문에 중고차 딜러에 대한 인식이 안 좋아진 면도 크죠.
시세에 비해 엄청나게 싸고 좋은 차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운이 정말 좋아서 괜찮은 차량을 싸게 구매할 수는 있겠지만, 싸고 좋은 차량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중고차에 대한 공부(해당 모델의 성능, 시세, 고질병 등등)도 해야하고, 발품을 팔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세에 비해 지나치게 싸다면 안타깝지만 먼저 의심을 해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상 법원 경매 차량에 대한 포스팅이었는데요. 명확한 결론을 내드리지 못한 점이 아쉽지만, 법원 경매차 구매를 고려중이신 분들께 아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