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 포스팅을 통해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와, 취업사이트들의 맞춤법 검사기, 부산대학교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많은 분들이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를 찾으시더군요.
아무래도 맞춤법을 좀 더 정확하게 쓰고싶은 마음에 공신력 있는 사이트를 찾으시는 것일 텐데요.
이 영향인지 많은 블로그, 카페, 유튜브 등에서 부산대학교 인공지능 연구실과 (주)나라 인포테크에서 만들고 운영하고 있는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국립국어원의 맞춤법 검사기, 혹은 국립국어원에서 추천하는 맞춤법 검사기로 소개하고 있습니다만…….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로 교정된 맞춤법에 대한 문의글도 국립국어원에 올라오고 있고, 표준 국어 대사전에 관한 이견도 있고… 이래저래 복잡합니다.
위 사진은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가 국립국어원에서 만들거나 운영하는 것이 맞느냐는 것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공식입장입니다.
부산대학교의 맞춤법검사기가 상당히 잘 만들어졌고, 성능도 뛰어난 것은 맞지만, 일부에서 알려진 것처럼 국립국어원의 공식 맞춤법 검사기라고 알려진 것에는 약간의 오해가 있는 듯하여 관련 정보를 가져와 봤습니다.
잡설이 상당히 길었네요.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어 문법 검사기와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등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함께 보면 좋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이전 포스팅에서 부산대학교의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에 대해 소개해드렸었지만, 전 포스팅을 찾아보기 귀찮아하실 분을 위해 링크를 걸어드리겠습니다.
? 부산대학교 맞춤법/ 문법 검사기 바로가기.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Copyrightⓒ2001 AI Lab & Narainfotech. All Rights Reserved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는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주)나라인포테크가 함께 만들고 있습니다. 이 검사기는 개인이나 학생만 무료로 사용�speller.cs.pusan.ac.kr
위 링크로 가시면 부산대학교의 맞춤법 검사기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과 학생은 무료
좀 더 자세한 사용법과 다른 맞춤법 검사기(네이버, 취업사이트)들이 궁금하신 분은 상단의 함께 보면 좋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집현전의 전통을 잇고자 1984년 설립(국어연구소로 설립)한 기관입니다.
우리말 사전(우리말샘,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어가초사전), 어문규범, 우리말 다듬기, 정책용어, 수어, 공공언어 감수, 한글 교육, 각종 연구, 조사 등 우리말에 대한 모든 업무를 총망라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바로가기.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어원이 궁금하거나, 문법 등이 궁금하신 경우, 국립국어원을 방문하시면 방대한 양의 자료와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맞춤법으로 검색해 본 내용인데, 어마어마한 양의 자료가 튀어나오네요.
저도 궁금한 단어가 생기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입니다.
온라인가나다.
온라인 가나다는 어문 규범, 어법, 표준국어대사전의 내용을 문의하는 게시판입니다.
보통 질문을 하면, 답변은 다음날까지 완료(휴일 제외)되며, 상담 사례 모음을 통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상단의 참여>>>>온라인 가나다
의 순으로 문의를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국립국어원 상단의 검색창에 입력하면 관련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으니, 먼저 검색을 해보시고, 검색이 안 될 경우 온라인가나다를 통해 문의를 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맞춤법은 부산 맞춤법 검사기를 이용하고, 애매한 부분은 국립국어원에서 검색을 하는 편인데, 현재까지 따로 문의를 해 본 적은 없습니다. (제가 하는 생각은 이미 다른 분들이 다 하시더군요….ㅋ)
예를 들어 봬요와 뵈요가 헷갈려서 검색을 한다고 하면,
이런 식으로 검색 결과를 보여주고,
이런 식으로 답변 결과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검색도 나름 빠른 편이고, 의미를 잘 모르는 단어의 검색에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네이버 등의 포털에서 검색하면 다 나오는데, 굳이 국립국어원까지 찾아갈 필요가 있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네이버의 경우 국어사전의 사전적 의미만을 볼 수 있는데 반해, 국립국어원은 단어에 대한 여러 정보들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이상 국립국어원의 온라인가나다에 대한 소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