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증상, 홍역 예방 접종 이력 확인 방법.
일본에서는 성병이 유행해서 주의하라는 기사가 나오고, 베트남 등의 동남아에서는 홍역이 유행중이라는 기사가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난리를 겪었던 기억이 트라우마가 된 건지, 감염병이 유행한다고 하면 가슴부터 철렁하는데요.
일전 포스팅에서 법정 감염병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홍역이란 녀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신종 감염병 16종,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리프트밸리열, 증상 및 감염경로, 치사율, 해외여행 감염병, 1급 법정감염병 ✔️ 고속도로 무료 긴급 견인 서비스.사고나 차가 고장났을 때. 무상견인. |
홍역(Measles)이란?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바이러스 감염병입니다. 주로 기침이나 재채기 등의 비말(호흡기 분비물)로 전파되며, 감염된 사람과 접촉하면 높은 확률로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어린이,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위험합니다.
주요 증상
홍역의 증상은 감염 후 10~12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나타나며,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 초기 증상(전구기, Catarrhal stage, 3~5일 지속)
- 고열(38~40°C)
- 기침
- 콧물
- 결막염(눈 충혈, 눈물 흘림)
- 코플릭 반점(Koplik’s spots, 입안에 생기는 작은 흰색 반점)
- 발진기(Exanthem stage, 4~7일 지속)
- 얼굴에서 시작해 온몸으로 퍼지는 붉은 발진(반점구진성 발진)
- 고열 지속
- 식욕 감소, 전신 쇠약감
- 발진이 나타난 후 3~4일 동안 증상이 가장 심해짐
- 회복기(Convalescent stage)
- 발진이 사라지면서 갈색으로 변하고 피부가 벗겨짐
-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합병증(폐렴, 중이염, 뇌염 등) 발생 가능
예방법
홍역은 예방접종(MMR: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백신)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예방접종
-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 2차 접종: 만 4~6세
- 성인의 경우, 면역력이 없는 경우 추가 접종 필요
- 기본적인 위생관리
-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
- 홍역 환자와의 접촉 피하기
-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유행 지역 방문 자제
-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 홍역 증상이 나타나면 다른 사람과 접촉을 최소화하고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홍역 접종 이력 확인 방법

자신의 홍역 예방접종 이력을 확인하려면 다음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및 모바일 앱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확인
- 스마트폰 앱(예방접종도우미) 다운로드 후 본인 인증 후 조회 가능
- 보건소 및 병원 방문
- 보건소 또는 과거 예방접종을 받은 병원에서 접종 기록 조회 가능
- 예방접종 수첩 확인
- 과거 예방접종을 받았을 때 받은 예방접종 수첩이나 기록지를 확인

위의 링크로 가시면 홍역 예방 접종 이력 및 다양한 예방 접종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홍역이 유행중인 해외를 방문하실 예정이시라면, 미리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상 홍역 증상 및 예방 접종 여부 확인 방법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