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버터, 가공 버터 차이점. 구매 전 성분표시 확인. 버터 종류.

진짜 버터, 가공 버터 차이점. 구매 전 성분표시 확인. 버터 종류.

식생활이 서구화 되었다는 얘기를 종종 하는데요.

치즈, 버터, 바질, 라이스 페이퍼, 칠리 소스 등 예전에는 생소했던 녀석들이 이제는 상당히 친근해졌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유의 종류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버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멸균우유, 환원유, 저지방우유, 탈지분유 의 차이, 우유 종류. 우유 성분.

✔️ 링거워터 링티 효과 및 효능, 성분, 후기, 과대광고 논란. 경구수액.

버터 종류.

이전 포스팅에서 우유의 종류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버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천연 버터 (Pure Butter)

우유나 크림에서 추출한 유지방을 응고시켜 만든 버터로, 유지방 함량이 80% 이상입니다. 풍부한 우유의 풍미와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제과 제빵이나 요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 무염 버터 (Unsalted Butter): 소금이 첨가되지 않은 버터로, 제과 제빵 시 정확한 염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가염 버터 (Salted Butter): 소금이 첨가된 버터로, 빵에 발라 먹거나 간단한 요리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 발효 버터 (Cultured Butter): 우유나 크림을 발효시켜 만든 버터로, 일반 버터보다 풍미가 더 깊고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가공 버터 (Processed Butter)

버터 또는 유지방을 주원료로 하여 다른 식품이나 첨가물을 첨가하여 가공한 버터입니다. 유지방 함량이 천연 버터보다 낮으며, 식물성 기름, 유화제, 향료, 색소 등 다양한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버터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보관 기간이 길 수 있지만, 풍미는 덜할 수 있습니다.

  • 혼합 버터 (Blended Butter): 버터에 다른 유지방이나 식물성 기름을 혼합한 버터입니다.
  • 가공 버터 스프레드 (Processed Butter Spread): 버터에 식물성 기름,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스프레드 형태로 만든 제품입니다.

3. 기타 버터

  • 저지방 버터 (Low-Fat Butter): 유지방 함량을 낮춘 버터로, 건강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 식물성 버터 (Vegetable Butter): 식물성 기름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버터로, 유제품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버터와 가공 버터의 차이점.

특징버터 (천연 버터)가공 버터
정의우유나 크림에서 추출한 유지방을 응고시킨 제품버터 또는 유지방을 주원료로 하여 다른 식품이나 첨가물을 첨가하여 가공한 제품
유지방 함량80% 이상80% 미만 (버터보다 낮음)
원재료우유, 크림 (유지방)유지방, 식물성 기름, 유화제, 향료, 색소 등 다양한 첨가물
풍부한 우유 풍미버터보다 풍미가 덜할 수 있음
가격비쌈저렴함
보관 기간짧음길 수 있음
용도제과 제빵, 요리버터 대용, 특정 용도 (예: 스프레드)
성분표 확인 시유지방 80% 이상, 우유/크림만 표기유지방 함량 확인, 식물성 기름, 첨가물 확인
영양 성분표 확인포화지방, 콜레스테롤 함량 높음포화지방 함량 낮을 수 있음, 트랜스지방 함량 높을 수 있음

버터 구매 전 성분표 확인.

이전 포스팅에서 우유의 종류에 대해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버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터 종류 확인. 성분표.

버터의 종류가 다양해지다보니, 천연 버터인줄 알고 구매했는데, 가공 버터인 경우가 있습니다.

각종 마케팅적인 용어가 넘쳐나다보니, 성분표를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오인하여 잘못 구매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구매 전 성분표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성분표를 보고 버터와 가공 버터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방법

성분표는 제품의 구성을 자세히 알려주기 때문에 버터와 가공 버터를 구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다음은 성분표를 확인하여 차이점을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1. 유지방 함량 확인:

  • 버터: 유지방 함량이 80% 이상입니다.
  • 가공 버터: 유지방 함량이 80% 미만이며, 버터보다 낮습니다.

2. 원재료명 확인:

  • 버터: 우유 또는 크림 (유지방)만으로 구성됩니다.
  • 가공 버터: 유지방 외에 식물성 기름 (팜유, 코코넛 오일 등), 유화제, 향료, 색소 등 다양한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3. 첨가물 확인:

  • 버터: 별도의 첨가물이 없을 수 있습니다.
  • 가공 버터: 유화제 (레시틴 등), 안정제, 향료, 색소 등 다양한 첨가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영양 성분표 확인:

  • 버터: 포화지방 함량이 높고, 콜레스테롤 함량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가공 버터: 포화지방 함량이 버터보다 낮을 수 있으며,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을 수 있습니다.

5. 제품 유형 확인:

  • 버터: ‘버터’ 또는 ‘천연 버터’로 표기됩니다.
  • 가공 버터: ‘가공 버터’, ‘버터 스프레드’, ‘유지 가공품’ 등으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성분표 확인 시 유의 사항:

  • 원재료명: 함량 순서대로 표기되므로, 유지방이 가장 앞에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첨가물: 어떤 첨가물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영양 성분표: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등의 함량을 확인하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합니다.

팁:

  • 제품 포장지에 ‘버터’라는 단어가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가격이 지나치게 저렴한 제품은 가공 버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하고, 의문이 있는 경우 제조사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버터의 종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천연 버터가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가공 버터라고 해서 안 좋은 것은 아니지만, 요즘은 각종 상술로 인해 우유처럼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경우가 많더군요.

사용 목적에 맞게 잘 확인하셔서 합리적인 구매를 하셨으면 하는 마음에 버터 종류 관련 포스팅을 진행해 봤습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