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Gemini 버전별 차이. advanced와의 차이. 구글 ai
이전 포스팅에서 구글의 ai인 gemini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chat GPT와의 비교 포스팅을 진행했는데요. 제미니에는 여러 버전이 존재합니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버전도 있고, advanced처럼 유료 요금제도 존재합니다.
각 버전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실텐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버전별 차이점에 대해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아래에 소개해드릴 내용은 gemini 2.0 Flash Experimental 버전에게 정리를 하라고 시켜서 얻은 자료임을 미리 밝히는 바입니다.
Gemini 버전별 차이점.

제미니에는 여러 버전이 존재합니다. 버전마다 차이점이 존재하는데요.
제미니 버전별 차이점에 대해 제미니에게 물어보았습니다.
Gemini는 Google에서 개발한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LLM)로, 텍스트, 코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현재 여러 버전이 출시되었거나 테스트 중인데, 각 버전은 성능, 기능, 접근성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기본 개념
본격적인 버전 비교에 앞서 제미니의 기본 개념을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Gemini는 Google의 기존 LLM인 LaMDA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멀티모달(Multimodal):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고성능: 이전 모델 대비 성능이 향상되어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텍스트 생성, 번역, 질의응답 등이 가능합니다.
- 다양한 작업에 특화: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다양한 버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 Gemini 버전 비교
현재 공개되었거나 언급된 Gemini의 주요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Gemini Pro: 다양한 작업에 걸쳐 확장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중간 규모의 모델입니다. Google에서 초기 테스트 버전으로 출시한 첫 번째 모델이기도 합니다. Gemini 1.0 Ultra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Gemini Ultra: 가장 크고 성능이 뛰어난 모델로, 매우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Gemini Advanced: Gemini Pro를 기반으로 하며, 특히 긴 문맥을 이해하는 데 뛰어난 기능을 제공합니다. 100만 토큰의 컨텍스트 윈도우를 제공하여 최대 1,500페이지 분량의 대용량 문서도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수학 및 복잡한 주제에 대한 프롬프트에 대해 더 정확하고 유용한 답변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개념 학습에도 도움을 주어 코드 작성, 수정, 검사 시간을 단축시켜 줍니다. Google One 가입자는 Gmail, Docs 등에서 Gemini Advanced를 이용하고 2TB의 저장 공간과 기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Experimental 버전: 특정 기능이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버전입니다. 예를 들어, Gemini 1.5 Pro는 초기 버전에서 12만 8천 개의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를 제공했지만, 실험적인 기능으로 100만 토큰까지 확장하여 테스트할 수 있도록 제공되기도 했습니다.
3. gemini 버전별 차이점 요약
특징 | Gemini Pro | Gemini Ultra | Gemini Advanced | Experimental 버전 |
---|---|---|---|---|
규모 | 중간 | 가장 큼 | 중간 (Pro 기반) | 다양 |
주요 특징 | 다양한 작업에 최적화 | 매우 복잡한 작업 처리 | 긴 문맥 이해, 고급 기능 제공 | 특정 기능 테스트 |
접근성 | Google AI Studio 등을 통해 제공 | 미정 | Google One 가입자를 통해 제공 | 제한적 제공 |
위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고 하네요.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하겠네요.
솔직히 기술적인 차이점에 대해서는 정확히 몰라도 일반인이 쓰는데는 크게 지장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휴대폰의 작동원리 및 기술에 대해 몰라도 쓰는데 지장이 없는 것 처럼 말이죠.
요금제에 대해서도 함께 포스팅을 하려 했는데, 쓸데없이 제미니가 떠드는 바람에 요금제는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